본문 바로가기

주식증권용어

윈도우 드레싱이란?펀드란?뮤추얼펀드란?

 

 윈도우 드레싱(window-dressing)




윈도우 드레싱이란 기업이 고의로 자산이나 이익 등을 크게 부풀리고 부채를 적게 계상함으로써 재무상태나 경영성과를 고의로 조작하는 분식회계를 말한다. 분식회계의 기법은 가공의 매출액을 계상해 당기순이익을 증가시키거나 재고자산을 과대계상해 보유자산을 늘리고 당기 순이익을 증가시키는 방법이다.(재고자산 과대계상시 매출원가가 과소계상되므로 당기순이익이 증가하게 된다.)

부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무제표에 기재하지 않는 방법 등 그 형태는 다양하다고 합니다.


 분식회계는 불황기에 회사의 신용도를 높여 주가를 유지시키고 자금조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나 회사의 재무상태가 거짓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투자자나 채권자의 판단을 그릇치게 만듭니다.

 따라서, 법으로 엄격히 금지되어 있으며 감사의 내부감사, 공인회계사의 외부감사, 금융감독원의 감리 등을 통해 적발해 내고 있습니다. 윈도 드레싱은 펀드매니저가 펀드의 수익구조를 양호하게 하기 위해 주로 펀드의 결산기에 펀드의 보유비중이 높은 종목을 인위적으로 유리하게 관리할 때도 이 용어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펀드란 무엇일까요?


펀드(Fund)

 

 투자신탁회사 또는 자산운용회사가 고객으로부터 자금을 모아 일정한 단위로 묶어 운용하는데 이단위를 "펀드"(Fund)라고 합니다.

 다시 말해 독립적으로 운용, 관리하는 신탁재산을 의미합니다.(부동산에서의 신탁재산과는 약간다른개념인것같습니다.)

보통 개별투자자들의 돈이 한데 모여서 펀드를 이룹니다.

 가령 1호, 2호가 붙어 있으면 각각이 하나의 펀드가 됩니다. 상품 하나하나가 펀드인 셈입니다. 같은 상품명이라도 1호, 2호가 수익률이 다른 것은 각각 독립적으로 운용되기 때문입니다. 뮤추얼펀드는 회사 자체가 하나의 펀드입니다.


뮤추얼펀드(mutual fund)


 펀드에서 뮤추얼펀드가 나왔으니, 한번 알아봐야겠죠? 뮤추얼 펀드는 미국에서 투자신탁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개방형 투자신탁을 말합니다. 미국의 투자신탁은 처음에는 폐쇄형으로 시작됐으나,  1929년 대공황으로 대부분 도산하고 1940년 이후 개방형인 뮤추얼펀드를 중심으로 반전했다고합니다.

 투자자들의 자금으로 회사가 설립되고 투자자들은 이 회사의 주식을 소유하게 되는 회사형이기 때문에 투자자는 수익자인 동시에 동시에 주주가 되는 구조입니다. 또 개방형이어서 주식 소유자의 요청이 있으면 언제든지 회사가 순자산 가격으로 주식을 매입함으로써 투자자들의 가입 및 탈퇴가 자유롭고 주식수도 수시로 변하게 됩니다. 

 

 1924년 보스턴에 설립된 메사추세츠 인베스터즈 트러스트가 첫 뮤출얼 펀드라고 하며, 우리나라는 1998년 9월에 증권투자회사법이 제정됨으로써 뮤추얼펀드의 설립근거가 마련되었고, 같은 해 12월에 최초로 미래에셋자산운용회사의 뮤추얼펀드가 탄생하였다고합니다. 




2018/05/28 - [주식증권용어] - 가격우선의원칙,시간 우선의 원칙,수량우선의 원칙, 위탁매매 우선의 원칙,인덱스 펀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