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증권용어

가격우선의원칙,시간 우선의 원칙,수량우선의 원칙, 위탁매매 우선의 원칙,인덱스 펀드

주식용어들을 배우고, 습득하기 위한 공부를 하고 싶어 포스팅하기 시작합니다.


가격 우선의 원칙(priority of highest bid and lowest offer principle)


 증권시장의 경쟁매매에서 호가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원칙의 하나이다. 주식의 경우 저가의 매도호가는 고가의 매도호가에 우선하고 고가의 매수호가는 저가의 매수호가에 우선하며, 채권의 경우 고수익률의 매도호가가 저수익률의 매도호가에 우선하고 저수익률의 매수호가가 고수익률의 매수호가에 우선한다는 원칙이다. 



시간 우선의 원칙(principle of priority in time)


 증권거래소 시장에서는 개별 경쟁매매에 의해서 매매거래가 형성되는데, 그 주문호가의 순위를 정하는 기본적인 원칙으로서 가격 우선의 원칙과 시간 우선의 원칙, 수량 우선의 원칙의 세가지 원칙을 적용하고 있다.

 시간 우선의 원칙이란 같은 가격 또는 수익률의 주문호가에 대하여 주문표의 접수시간의 순서에 따라 먼저 접수된 주문호가를 나중에 접수된 주문호가에 우선하여 처리한다는 원칙이다. 



수량우선의 원칙 


 같은 가격에서 같은 시간에 접수된 주문에 있어서는 수량이 큰 쪽을 우선으로 체결시킨다는 원칙(, 수량이 큰 주문부터 조금씩 물량을 배분한다는 의미이지, 수량이 큰 주문부터 체결시켜주는 것은 아니다.). 이쯤되면 평상시에선 이 원칙이 적용될 일이 없고 동시호가 때에서나 적용된다.

 

예를 들어, 동시호가시간에 A10,000원에 10,000, B10,000원에 100주를 주문 넣으면 A부터 체결된다는 것이다.

 

수량우선원칙에 따르면 당연히 수량매매단위가 큰 외국인이나 기관투자자의 거래가 개미투자자의 거래보다 우선하게 된다. 수량우선의 원칙이 있는 것 자체가 외국인이나 기관투자자들의 매매가 원활히 체결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위탁매매 우선의 원칙 


  

 같은 가격에서 같은 시간에 접수된 같은 물량의 주문에 있어서는 개미투자자들의 주문을 외국인이나 기관투자자들의 거래에 우선해서 체결시킨다는 원칙이다.




인덱스 펀드(index fund)


 종합주가지수의 변화와 동일하게 펀드의 수익률이 움직이도록 만든 지수연동형 펀드이다. 통상 증권거래소가 발표하는 KOSPI 200지수를 구성하는 개별주식의 시가총액 구성비율에 따라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KOSPI 200지수를 복제한다.

 미국에서는 인덱스펀드가 뮤추얼펀드 시장의 30% 이상을 차지할 만큼 인기를 끌고 있다. 펀드운용은 KOSPI 200지수의 편입종목이 바뀔 때마다 종목을 일부 교체하여 포트폴리오를 수정한다. 대세상승기에는 통상 주식형 펀드의 수익률이 종합주가지수 상승률만큼의 수익률을 내기 힘들기 때문에 인덱스펀드에 가입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케아에서 말장식 산건대, 제자리 위에 올려놓았어요~~ 오늘도 열공하시죠!